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MM인수
- 이커머스
- lg앤솔기사
- 베트남
- 쿠팡제무제표분석
- 글로비스 해운
- 한국제조산업
- 그린메탄올
- 제조수출입
- 종로 예쁜카페
- 물류시사
- 종로 근처 카페
- 종로 가성비 카페
- 반쿠팡 연합
- 쿠팡
- HMM 성장
- 전기차
- 포스코
- glovis
- 종로 넓은 카페
- CJ쿠팡
- 중국제조산업
- 중국2차전지
- maersk
- 아마존 창고
- 쿠팡기업분석
- 쿠팡 흑자전환
- 물류아마존
- 메탄올
- Today
- Total
나를 물류보고서
Weekly Issues 쿠팡 기업분석 _ 중요한 것은 고객 만족 본문
쿠팡은,,
22년 4분기 26조 5,917억원으로 역대 최대 매출 달성 이어
23년 2분기 매출 7조 7,000억원
영업이익 1억 4519달러 사상 최대
전년 동기대비 21% 매출 증가 달성
작년 3분기부터 네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거두며 첫 연간 흑자 기대
연달아 최대 매출을 기록하는 쿠팡은 이렇게 빨리 흑자를 기록할 거라 예상하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안겨주었습니다.
사실 몇년 전만 해도 저도 로켓배송으로 작은 아이라이너를 사면서 쿠팡은 이걸로 어떻게 돈을 벌어? ,,,
의문을 가졌던 때가 있었는데 이렇게 국민 기업으로 성장해 역성장 없이 흑자를 기록하니 신기하기만 합니다.
오늘은 쿠팡이 어떻게 돈을 벌고 있는지 재무제표를 통해 기업분석을 해보고
+ 앞으로 나아가야 할 쿠팡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쿠팡은 미국기업이기 때문에 우리가 아는 분기별 보고서가 다트에는 없는데요 ,, 후 전부 영어 ㅎㅎ ^^
재무성과 요약
총수익(net revenues) : 5.8억 달러로 환율을 배제하면 지난 연도 대비 21% 증가했습니다
* constant currency 는 기준년도를 정해서 지금 것 대비 수익률을 계산하는 것인데요 환율이 있고 없고에 따라 16%와 21% 면 차이가 큰 편인 것 같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이해하기 어렵지만 대충 1300원=1불로 가정했을때 환율때문에 매출이 더 증가되어보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가정입니다. 즉 환율이 떨어지면 매출이 감소할 수도 있는 말이 됩니다.
총이익(Gross profit) : 15억 달러로 지난 연도 대비 32%상승
매출의 총이익(Gross profit) = Total net revenue - Cost of sales 입니다.
즉 쿠팡이 돈을 벌기 위한 매출 원가(Cost of sales) 는 4,314,101 달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순이익(Net income) : 1억 4천 5백만달러로, 순이익율 2.5% 향상 / 전년 대비 흑자 전환되었네요
또한 MAU (Montly Active User= 활성고객 ) 도 1,788만명에서 1,971만명으로 증가했습니다
활성 고객 증가(Active Customer Growth) : 지난 연도 대비 10% 증가 , 1,971만명.
활성 고객 당 총 순수 수익(Total Net Revenues per Active Customer) : 환율 효과 제외 10% 증가
이것으로 보아 커머스란 매체 특성상(시즌성), 1,3 분기 매출액 증가, 2분기 매출액 감소라는 일반적인 룰을 깨고 쿠팡은 지속적인 향상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고객층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1인 고객당 매출액도 증가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활성고객을 만족시키는 쿠팡의 고객 서비스 강화전략이 먹히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
뿐만 아니라 쿠팡은 다른 시장을 엄두도 못내는 높은 진입 장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쿠팡은 PB 상품과 직매입 비율이 높은 회사입니다.
Net retail sales = 쿠팡이 직접 직매입해서 판매하고 거기서 나온 이득이 매출로 잡히는 금액인데요 , 당연히 매입해서 파는 것이기 때문에 inventory cost가 발생됩니다.
다른 other revenue 에는 로켓와우 회원비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재고 비용이 안들음
또한 third - party merchant services 는 오픈마켓을 통한 수수료 수익이라 볼 수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재고비용이 안들음
쿠팡은 직매입 비율이 월등히 높은 편인데요 다른 회사에서는 엄두도 못내는 전국 30여개의 탄탄한 플필먼트 센터가 고객과의 접근성을 높여주고 단순히 하루배송이 아닌 타임 어택 할인으로 시간별 배송이 가능해 고객만족도를 극대화 시킵니다.
시간이 지나면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식재료 같은 경우도 빨리 빨리 창고에서 내보내 재고 비용을 낮춰야하는데 쿠팡은 그게 가능합니다.
또한 쿠팡은 중소기업의 PB 상품이 대거 포진되어 있습니다. PB 상품의 장점은 유통마진을 줄이고 상품 매입가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압도적인 인프라로 무서울 게 없는 쿠팡은 ott와 라이브 커머스를 비롯해 여기저기 시장을 넓혀나가는 중입니다.
물론 이런 쿠팡에도 개선해야할 부분들이 많은데요,,,,,그것은 2탄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쿠팡 VS CJ (feat. 네이버)
> 올해(2023) 모아둔 쿠팡 유통업 기사 모음입니다. 스터디에 참고하세용
https://attentionddochi.tistory.com/48
쿠팡 유통업 기사 모음
attentionddochi.tistory.com
위 글은 학교 과제를 토대로 정리한 저의 개인적인 스터디입니다.
언제든지 피드백 적극 환영합니다. 무단 출처는 안됩니당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용 !!
'NEWS > weekly iss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ly issue 8월 2주차 _ 파나마 운하 가뭄 사태 (0) | 2023.08.14 |
---|---|
현대자동차 및 테슬라,삼성 등 반도체/ 전기차/ 자동차 관련 기사 모음/ 기업분석 (0) | 2023.07.10 |
Weekly issues _ 캐나다 파업 이슈 : 대체 항구 BC port와 트뤼드 정부의 대응 (0) | 2023.07.04 |
weekly issue 230517 전기차 시대, 중국이 유일한 승자 ? 공급망 다변화 필요 (0) | 2023.05.17 |